카테고리 없음

눈 앞머리 가려움 원인 및 치료 방법

히어로스 2023. 5. 24. 07:26

평소에 눈 앞머리가 가려워서 손으로 눈을 문지르거나 긁어본 적은 모두 한 번쯤 겪어보셨을 것입니다.

 

일시적인 가려움이라면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눈 앞머리 가려움이 자주 반복된다면 적절한 안과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오늘 분당연세플러스안과에서는 눈 앞머리 가려움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안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안구건조증

만약 눈 앞머리에 가려움증을 느끼고 따가움 혹은 건조함이 느껴진다면, 안구건조증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 분비 부족이나 눈물 증발이 지나치게 일어나 안구 표면이 지나치게 건조해지는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많은 현대인들이 겪는 증상으로, 심각한 안과질환이라고 여겨지지 않아 치료를 받지 않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안구건조증은 오랫동안 방치하면 만성 염증이나 감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고, 각막에 손상을 줄 수도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로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비염 환자가 눈 앞머리 간지럼을 호소한다면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꽃가루나 황사,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눈에 닿아 결막을 자극하고 염증을 일으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나타날 경우 간지럼이 심해 눈을 비비기 쉬우며 시력저하, 원추각막, 세균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의심된다면 눈을 만지는 행동은 자제하고 빠른 시일 내 안과를 찾아 개선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눈 다래끼

만약 눈꺼풀의 부분이 부어오르고 가려운 증세가 나타난다면, 이는 눈 다래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눈 다래끼는 눈꺼풀에서 분비되는 액체가 세균에 감염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증세가 발생한 직후에는 가벼운 가려움증이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과 부어오름이 동반됩니다. 보통 1~2주 후에는 증세가 자연스럽게 호전되지만, 몇 개월간 부어오름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다래끼가 오래 가라앉지 않는다면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유행성 결막염

과다한 눈꼬리와 함께 눈 앞머리 가려움증이 나타난다면 유행성 결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유행성 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으로 직접 접촉 외에도 환자가 사용한 물건을 통한 간접적 접촉으로도 감염이 전파될 만큼 전염성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그러므로 타인에게 감염이 전파되지 않도록 눈 건강 관리에 최대한 주의를 기울이며 적합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유행성 결막염을 치료하지 않는다면 증상이 악화되어 각막이 벗겨져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거나 나중에는 각막에 염증성 세포들이 침입하여 혼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조기에 병원을 찾아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앞머리 가려움 주의사항

만약 눈 앞머리가 가렵다면, 자주 눈을 비비거나 긁는 행동은 충혈이나 부종을 유발할 수 있으며 손이 깨끗하지 않으면 2차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지속적인 눈 비비기로 각막에 물리적 충격을 준다면 각막이 과도하게 얇아지기도 하고 각막의 원추 형태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눈 앞에 벌레가 날아다니는 듯한 비문증이나 시야 일부분이 가려지는 망막박리 등 눈 비비기는 이러한 증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최대한 자제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분당연세플러스안과와 함께 눈 앞머리 가려움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안질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눈 앞머리 가려움은 일시적으로 유입된 이물질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안과 치료가 필요한 질환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눈 앞머리 가려움이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따가움, 충혈, 눈곱 등의 이상 증상이 동반된다면 지체하지 말고 즉시 안과에 내원하여 정밀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